반응형
교재에 따라
に至るまで、に至る、に至って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실려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 이러한 표현들은 따로따로 암기하기 보다는 하나의 동사만 잘 기억하시면 됩니다.
至る(いたる):이르다
우리도 종종 쓰는 표현입니다.
전혀 어려울게 없습니다.
하나씩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선 한국말에서 이르다라는 표현을 쓸 때, "~에 이르다"와 같이 앞에 조사 "~에" 가 붙는데,
일본어에서도 같은 의미인 "に"가 붙게 됩니다.
간혹 조사가 に가 붙는다라고 암기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한국말을 생각해 보면 당연히 "に"가 와야 말이 됩니다.
조사 "に"가 오는 이유는 설명했으니 이제 동사쪽을 보겠습니다.
至る는 원형이 그대로 쓰일 때도 있고, て형 혹은 원형 뒤에 まで가 연결되는 형태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굳이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て형(~해서), まで(까지)를 그대로 해석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굳이 문법으로 외우기 보단 至る(いたる)라는 동사만 잘 기억하시고
한국말과 연결지어 생각하시면 됩니다.
혹시 이해가 잘 안되시면 아래 강의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JLPT 문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창고:: JLPT N2문법 연습문제 #1 (0) | 2021.09.28 |
---|---|
일본어창고:: JLPT N1문법 연습문제 #1 (0) | 2021.09.16 |